안녕하세요, 리밋넘기 세무회계의 대표 세무사, 리밋넘기입니다. 7월은 저희 세무사들에게 가장 바쁜 시기 중 하나입니다. 바로 정부의 하반기 경제정책방향과 함께 다음 해 세법 개정안의 윤곽이 드러나는 때이기 때문이죠. 특히 올해는 부동산 세금의 '대격변'이 예고되어 있어, 벌써부터 고객분들의 문의가 빗발치고 있습니다.
'1주택자도 종부세를 내야 하나?', '다주택자인데 지금 집을 파는 게 맞을까?' 등 많은 분들이 혼란스러워하고 계십니다. 오늘, 2025년 하반기부터 우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부동산 세금 변화의 핵심을 알기 쉽게 짚어드리겠습니다.
[cite_start]본 포스팅은 현재까지 언론 등을 통해 공개된 정부의 '세제개편안(제안)'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최종 내용은 국회 입법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cite: 4] 실제 의사결정 전에는 반드시 개정 세법을 확인하시거나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핵심 1. 종합부동산세(종부세)의 대대적인 수술 🏠
이번 세제개편안의 가장 큰 화두는 단연 '종합부동산세'입니다. [cite_start]정부는 과도한 부동산 보유 부담을 완화하고, 왜곡된 시장을 정상화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cite: 1, 4]
-
1주택자: 사실상 폐지 수순
[cite_start]실거주 1주택자에 대해서는 종부세를 완전히 폐지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습니다. [cite: 1, 2, 4, 5] 상속 등 불가피한 이유로 일시적 2주택이 된 경우에도 1주택자로 간주하는 등, 실수요자의 부담을 완전히 덜어주겠다는 취지입니다. -
다주택자: '징벌적 과세'에서 '일반 과세'로
[cite_start]다주택자에 대한 징벌적 중과세율을 폐지하고, 세율을 대폭 인하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 [cite: 1, 4] [cite_start]또한, 기본 공제 금액 자체를 현재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상향 조정하여 세금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여줄 것으로 보입니다. [cite: 1] [cite_start]장기적으로는 재산세와 통합하는 방안까지 거론되고 있습니다. [cite: 4]
핵심 2. 양도소득세(양도세) 중과 유예 연장 📉
집을 팔 때 내는 양도소득세 역시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특히 다주택자들의 매물 출회를 유도하기 위한 정책이 핵심입니다.
[cite_start]현재 2025년 5월까지 한시적으로 유예 중인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조치가 추가로 연장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cite: 3] 이는 다주택자가 집을 팔 때 최고 45%의 기본세율에 추가로 20~30%p를 더 매기던 것을, 유예 기간 동안에는 기본세율로만 과세하는 제도입니다. 이 조치가 연장되면 다주택자들의 세금 부담이 크게 줄어, 얼어붙은 부동산 시장에 매물이 풀리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핵심 3. 상속세, '유산세'에서 '유산취득세'로 전환 👨👩👧👦
부동산과 직접적인 관련이 깊은 상속세에도 근본적인 변화가 예고되었습니다. 바로 과세 방식을 바꾸는 것인데요.
- 현행 (유산세 방식): 피상속인(고인)이 남긴 재산 총액에 대해 한 번에 세금을 매긴 후, 상속인들이 나눠서 냅니다. 재산이 클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되어 부담이 컸습니다. [cite_start]
- 개편안 (유산취득세 방식): 상속인 각자가 실제로 물려받는 재산 가액에 대해서만 세금을 매깁니다. [cite: 1, 2] [cite_start]이렇게 되면 전체 재산이 같더라도 상속인이 많을수록 각자의 과세 표준이 낮아져, 결과적으로 세금 총액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cite: 2]
수십 년간 유지되어 온 상속세 기본 공제 금액을 현실에 맞게 상향 조정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되고 있어, 중산층의 상속세 부담이 크게 완화될 전망입니다. [cite: 2]
자주 묻는 질문 ❓
2025년 하반기는 부동산 세금 제도의 큰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변화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미리 대비하는 사람만이 현명한 자산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오늘 정보가 여러분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