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3년의 대장정에서, 미국 명문대 합격의 향방을 가르는 가장 중요한 '골든타임'을 꼽으라면 입시 전문가들은 주저 없이 '11학년(고2)으로 올라가는 여름방학'을 이야기합니다. 바로 지금, 2025년의 여름이죠. 😊
매년 이맘때면 저는 10학년(고1) 학생들에게 "이번 여름이 여러분의 대입 마라톤에서 가장 중요한 승부처"라고 강조합니다. 실제로 작년에 제가 지도했던 한 학생은, 이 여름방학 동안 Digital SAT 점수를 1570점으로 완성하고, 교내 과학 동아리에서 시작한 개인 연구를 심화시켜 작은 논문으로 발전시켰습니다. 그 결과, 가장 중요한 11학년의 험난한 AP 과정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었고, 결국 꿈에 그리던 코넬 대학교 컴퓨터 과학과에 합격하는 쾌거를 이루었습니다.
이 여름을 어떻게 보내느냐가 1년 뒤 원서의 깊이와 완성도를 결정합니다. 막연한 불안감은 떨치고, 오늘 제가 제시하는 4가지 로드맵을 따라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보시길 바랍니다.
2025년 여름, 합격을 위한 4가지 필수 과제 🗺️
11학년이 되면 AP/IB 등 심화 과목들로 인해 눈코 뜰 새 없이 바빠집니다. 이번 여름은 대입의 기본기를 다질 수 있는 거의 마지막 기회입니다.
과제 1. SAT/ACT 점수, 여름방학에 완성하라! 🎯
명문대들이 다시 SAT/ACT 점수 제출을 의무화하는 추세입니다. 11학년의 높은 내신(GPA) 관리에 집중하기 위해, 비교적 여유로운 이번 여름방학 동안 목표 점수를 만들어 두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전략입니다. 완전히 정착된 Digital SAT의 특성을 파악하고, 실전 문제풀이 위주로 집중적으로 학습하여 8월이나 10월 시험에서 끝내는 것을 목표로 하세요.
과제 2. '나만의 스토리'를 증명할 과외활동(EC)을 심화시켜라. 🚀
미국 명문대는 '다 잘하는 학생'보다 '한 분야에 깊은 열정을 가진 학생'을 선호합니다. 이것저것 얕게 활동한 10가지보다, 자신의 전공 희망 분야와 관련된 하나의 활동을 깊이 있게 파고드는 'Spike'를 만드세요. 여름방학은 이 Spike를 만들 절호의 기회입니다. (예: 코딩을 이용한 사회문제 해결 앱 개발, 특정 주제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 후 논문 작성, 비영리 단체 설립 등)
과제 3. 막연한 '드림스쿨'을 현실적인 '지원 대학 리스트'로 구체화하라. 🏛️
더 이상 막연하게 '아이비리그'를 꿈꿀 때가 아닙니다. 자신의 현재 성적(GPA, SAT)과 활동 내역을 바탕으로 지원할 대학 리스트를 15~20개로 구체화해야 합니다. 각 대학의 인재상, 특정 프로그램의 강점, 교수진 등을 리서치하며 Reach(상향), Target(적정), Safety(안정) 학교를 균형 있게 구성하는 작업을 시작하세요.
과제 4. Common App 에세이, '글감'을 찾는 자아 탐색의 시간을 가져라. ✍️
지금 당장 에세이를 완벽하게 쓸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입학사정관에게 '나는 어떤 사람인지' 보여줄 핵심 스토리에 대한 고민은 시작해야 합니다. 나의 인생을 바꾼 경험,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가치, 실패를 통해 배운 점 등을 노트에 적어보며 나 자신을 탐색하는 시간을 가지세요. 이 글감들이 1년 뒤, 강력한 에세이의 초석이 될 것입니다.
수백, 수천만 원짜리 명문대 주최 여름캠프에 참가했다는 사실 자체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 입학사정관은 '그래서 그 경험을 통해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성장했으며, 어떤 결과물을 만들었는가?'를 봅니다. 스스로 주제를 찾아 도서관에서 진행한 '개인 연구 프로젝트'가 때로는 훨씬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진정성'과 '주도성'이 핵심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
2025년 여름방학은 2026년 가을, 합격의 결실을 보기 위한 씨앗을 심는 가장 중요한 시기입니다. 뚜렷한 목표 의식과 구체적인 계획으로 후회 없는 여름을 보내시길 리밋넘기가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